2025년 2월 온라인 패션몰 매출 동향 분석
2025-03-13
2025년 2월 온라인 패션몰 매출 동향 분석
서비스 | 커뮤니티 | 회사 | ![]() | ![]() | ![]() | ||||||||
셀메이트 | 원격지원 | 회사소개 | |||||||||||
셀익스 | 이벤트 | 채용안내 ![]() | |||||||||||
셀메이트포스 | |||||||||||||
요금 안내 | |||||||||||||
고객센터 | |||||||||||||
컨텍센터 : 1668-2830 | 카카오톡 : @sellmate 평일 9시 - 17시 ( 점심 12:00 - 13:30 ∙ 토 ∙ 일 ∙ 공휴일 휴무 ) | [인증범위] 판매관리통합솔루션 서비스 운영 [유효기간] 2023.11.18 ~ 2026.11.17 | ||||||||||||
(주)셀메이트 | |||||||||||||
대표 : 서원준 | 사업자등록번호 : 105-87-90701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73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47 (공덕코어빌딩), 3‧5‧10‧11층 | |||||||||||||
이용약관 ㅣ 개인정보처리방침 | Copyright © Since 2006 Sellmate Ltd. All right reserved. |
![]() |
[인증범위] |
고객센터
컨텍센터 : 1668-2830 | 카카오톡 : @Sellmate
평일 9시 - 17시
(점심 12:00 - 13:30 ・ 토 ・ 일 ・ 공휴일 휴무)
(주)셀메이트
대표 : 서원준
사업자등록번호 : 105-87-9070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73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47 (공덕코어빌딩), 3‧5‧10‧11층
Copyright © Since 2006 Sellmate Ltd. All right reserved.
셀러연구소 selllab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션 카테고리 분야의 쇼핑몰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통계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뉴스레터에서는 매출 TOP100 그룹과 월 매출 1~3억 대 쇼핑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년과 달라진 2월 매출 흐름 변화를 짚어 봅니다.
[ 월 매출 TOP100 ]
1. 월 매출 TOP100 그룹 패션 쇼핑몰의 2월까지 매출 추이
* 24년 11월 TOP100 업체 매출을 1로 기준 했을 때, 상대적인 매출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ex. 25년 2월의 0.43 포인트는 25년 1월 매출이 24년 11월 매출보다 57% 하락한 것으로 해석)
매출 TOP100 그룹, 반토막으로 떨어진 2월 매출
11월 기준으로 1월 매출은 간신히 절반 이상을 기록했으나, 2월에는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고물가 여파와 경기침체가
1월부터 2월까지 지속된 결과로 보여지는데요, 비필수 소비로 여겨지는 패션 부분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2월 매출의 하락의 원인 중에는 따뜻한 겨울 날씨도 꼽을 수 있었는데요, 이례적인 늦추위도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습니다. 입춘이 지나고도 강한 추위가 찾아오면서 잠시 고가의 아우터 소비가 증가했지만,
겨울 시즌 오프와 봄 시즌 시작을 앞두고 있어 폭발적인 매출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명절 직후 소비 감소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의류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2월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1월보다 더욱 커진 2월의 매출 하락
1월은 겨울철이 끝나가는 시점으로, 겨울 세일을 통해 매출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2월에는 겨울 세일이 종료되거나
다음 시즌 의류로의 구매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소비자는 구매할 상품이 없는 시기이고, 판매자는 남아있는 겨울 상품 외에
판매할 상품이 없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 소비자는 구매를 미루고, 다음 시즌 신상품을 기다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때 늦은 추위로 인해 한겨울에 판매되지 못한 겨울 재고가 많이 쌓여 있는 상황 역시 매출 감소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여 1월 대비 2월 의류 소비에 큰 하락세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됩니다.
[ 월 매출 1~3억 대 2월 ]
1. 월 매출 1~3억 대 패션 쇼핑몰의 1월까지 매출 추이

* 24년11월 월 매출 1-3억 대 업체 매출을 1로 기준 했을 때, 상대적인 매출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 (ex. 25년 2월의 0.88 포인트는 25년 2월 매출이 24년 11월 매출보다 12% 하락한 것으로 해석)
월 매출 1~3억 대 그룹, 경기 침체 속 매출 하락 방어
1~3억 대 그룹의 2월 매출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월 매출 TOP100 업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작았습니다.
TOP100 그룹에 비해 1~3억 대 그룹이 운영 규모가 작은 것이 이점으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시즌별 세일과 프로모션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시장의 흐름을 즉각적으로 반영한 것이 매출 하락을 방어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운영 규모가 큰 기업은 시즌별 세일과 프로모션을 연간 계획하에 실행하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월 매출 1~3억 대 그룹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 더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날씨와 시장 상황에 맞춰 세일의 규모와
기간을 조정하며 겨울 재고와 봄 시즌 상품의 판매를 조율함으로써, 매출의 큰 하락을 막을 수 있었습니다.
2. 1월 대비 2월 매출은 소폭 상승
1~3억 대 그룹의 1월 대비 매출 상승률은 2.70%로,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TOP100 그룹은 큰 하락세를 기록했지만
1~3억 대 그룹은 작지만, 긍정적인 결과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내수 경기 침체와 2월의 적은 영업 일수, 명절 이후 소비 둔화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1~3억 대 그룹이 빠르고 유연하게 다양한 이슈에 대응했기에 가능했습니다.
잦은 날씨 변동으로 고객들이 상황에 맞게 구매 가능한 상품을 선보이며 판매 상승세를 끌어냈습니다.